온라인믹스 - 디지털마케팅과 여행

검색엔진최적화(SEO) 및 키워드광고(CPC) 관련 무료 마케팅툴 <1> 본문

Work/Digital Marketing

검색엔진최적화(SEO) 및 키워드광고(CPC) 관련 무료 마케팅툴 <1>

Sangsik.ee 2014. 12. 20. 15:32

검색엔진최적화(SEO)와 CPC 등의 온라인광고를 진행할 때 겪는 어려움 중 하나가 데이터수집입니다. 최적화 대상이 되는 웹사이트의 현위치가 어디인지, 타깃 키워드는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계량적인 데이터를 근거해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구글에서는 애널리틱스 툴과 애드워즈 키워드 플래너를 제공하고 있고, 네이버에서도 비슷하게 애널리틱스 및 광고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구글의 웹마스터툴을 벤치마킹해서 네이버도 따라 만들고 있네요.

 

이 밖에도 다양한 툴이 있는데, 괜찮다고 생각되는 툴을 블로그에 올려보겠습니다. 물론 '무료로' 이용 가능한 툴들입니다. 상세기능이나 보다 전문적인 정보를 위해선 결제를 진행해야하지만 아직 입문단계에 있는 사람들에겐 충분히 유용한 정보가 될 것 같네요.

 

 

1. Google Adwords Keyword Planner(https://adwords.google.com/

구글 애드워즈 키워드 플래너(Google Adwords Keyword Planner) - 성형외과 검색 시

 

구글 CPC광고를 진행할 때 애드워즈 키워드 플래너는 아래와 같이 '성형외과' 라는 단어만 입력해도 광고그룹과 추천 키워드 아이디어를 나열해줍니다. 각 광고그룹별로 검색량과 경쟁현황도 알 수 있어서 별도 CPC툴이 있지 않은 한 키워드플래너만으로도 키워드광고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

 

 

2. Keyword Tool(http://keywordtool.io/)

비슷한 사이트로 '키워드툴' 이란 사이트에서는 숏테일 키워드를 입력하면 롱테일키워드를 알파벳 또는 ㄱㄴㄷ 순으로 나열해서 한눈에 키워드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키워드당 최대 750개의 연간 키워드를 손쉽게 뽑아낼 수 있으니 편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Keyword Tool - 서울 성형수술 영문 키워드 검색 시

 

 

3. Open Site Explorer(http://opensiteexplorer.com/)

MOZ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해당 페이지에서는 SEO와 관련된 내/외부 링크형성 수, 앵커텍스트, Page Authority, Domain Authority 등 왠만한 평가지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좀 더 상세 정보 확인은 유료 상품을 구입해야만 합니다. 아래는 해당 툴로 국내의 롯데호텔 웹사이트와 글로벌 하얏트 웹사이트를 비교 분석한 결과 표입니다. 모든 지표에서 하얏트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네요. 이처럼 1개 웹사이트만 분석할 수도 있지만 경쟁업체와의 웹사이트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취약점이 어디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Open Site Explorer - 국내 롯데호텔 및 글로벌 하얏트호텔 SEO 비교

 

 

4. SEMRush(http://www.semrush.com)

SEMRush는 자연검색(Organic)키워드광고에 관련된 지표를 확인하기에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자연검색 및 키워드광고 트래픽 추이를 볼 수 있고, 높은 트래픽을 유발하는 상위 10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유료는 fully 확인할 수 있지만요) 또한 경쟁업체의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웹사이트가 키워드광고비로 월간 얼마나 투입하고 있는지 예상치가 나옵니다. 경쟁업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때는 이것만으로도 도움이 되겠네요.

SEMRush - hyatt.com의 자연검색과 키워드광고 트래픽을 확인 가능하다

 

 

5. Alexa(http://www.alexa.com)

Alexa는 전세계 웹사이트 트래픽을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국내 웹사이트는 랭키닷컴(www.rankey.com) 에서 조회하고 있지만 해외 웹사이트는 Alexa에서 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유명하지 않은 웹사이트는 특히나 정확도가 더욱 떨어집니다. 단지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좋을 뿐입니다.. Alexa는 트래픽뿐만이 아니라 웹사이트의 유입경로, 주요 키워드, 관련 웹사이트, 국적별 이용 현황 정보 등을 제공합니다. 이미 웹사이트에 구글 어낼리틱스 등의 웹로그툴이 있다면 충분히 확인 가능한 데이터들이지만, 경쟁업체의 정보를 얻기엔 나쁘지 않은 사이트입니다.

Alexa - agoda의 방문객 및 접속국가 관련 통계 조회

 

 

브랜든K

Comments